KBO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올스타전은 KBO 리그의 올스타들이 참가하는 연례 행사로,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동군과 서군으로 시작하여, 1999년에는 매직리그와 드림리그, 2009년에는 이스턴 올스타와 웨스턴 올스타, 2015년에는 드림/나눔 올스타로 팀 구성을 변경했다. 올스타전 MVP는 미스터 올스타로 선정되며, 롯데 자이언츠가 최다 MVP 배출 구단이다. 홈런 레이스, 번트왕, 퍼펙트 피처, 퍼펙트 히터, 슈퍼 레이스와 같은 다양한 부가 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O 올스타전 - 민병헌
민병헌은 2006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롯데 자이언츠를 거쳐 KBO 리그 통산 1438경기에 출전, 0.295의 타율을 기록하고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은퇴 후 지도자 및 해설가로 활동한다. - KBO 올스타전 - 김용희 (야구인)
김용희는 1970년대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지도자로 변신,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SK 와이번스 등에서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4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3군 총괄코치로 합류했다. - KBO 리그 - 키움 히어로즈
키움 히어로즈는 2008년 창단하여 KBO 리그에 참가하는 프로야구단으로, 네이밍 스폰서십을 통해 운영되며 서울 고척 스카이돔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정규 시즌 2위 3회와 한국시리즈 준우승 3회를 기록했다. - KBO 리그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는 1975년 창단되어 1982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프로 야구팀으로, 1984년과 1992년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KBO 리그에서 인기 있는 팀 중 하나이다.
KBO 올스타전 | |
---|---|
기본 정보 | |
![]() | |
창설 | 1982년 |
경기 방식 | 2연전 (1982년 ~ 1998년, 2000년) / 단일 경기 (1999년, 2001년 ~ 현재) |
참가 리그 | KBO 리그 |
최근 경기 결과 | 드림 올스타 승리 (2023년) |
최다 우승 팀 | 드림 올스타 (27회) |
역사 | |
1982년 | 올스타전 시작 (2연전) |
1999년 | 단일 경기로 변경 |
2000년 | 2연전으로 환원 |
2001년 | 단일 경기로 변경 |
기타 | |
관련 항목 | KBO 리그 프로 야구 |
2. 역대 전적
KBO 올스타전의 역대 전적은 드림 올스타(동군)와 나눔 올스타(서군) 간의 치열한 경쟁을 보여준다.
1982년부터 1990년까지 동군은 10승 5패로 서군에 앞섰다. 특히 1984년과 1985년에는 각각 2승 1패로 서군을 압도했다. 1987년 부산 사직 구장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에서는 동군이 서군을 4:3으로 이겼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는 8개 구단 체제와 양대 리그(매직리그, 드림리그) 도입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1991년 부산 사직 구장에서 열린 8개 구단 체제 첫 올스타전에서는 동군이 서군을 10:6으로 이겼다. 1999년 수원 구장에서 열린 양대 리그 첫 올스타전에서는 드림리그가 매직리그를 9:5로 이겼다. 2000년에는 마산 구장과 제주 오라 구장에서 처음으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고, 드림리그가 1승 1무로 우승했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는 단일리그로 재전환되고, 팀명이 동군/서군에서 이스턴/웨스턴으로 변경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2001년 단일리그 재전환 후 첫 올스타전에서는 동군이 서군을 6:2로 이겼다. 2009년 팀명이 이스턴 올스타, 웨스턴 올스타로 변경된 후 첫 올스타전에서는 웨스턴이 이스턴을 7:3으로 이겼다.
2011년부터 현재까지는 9개 구단 및 10개 구단 체제, 팀명 드림/나눔 올스타로 변경 등 다양한 변화 속에서 올스타전이 진행되었다. 2015년 10개 구단 체제에서 팀명이 드림 올스타, 나눔 올스타로 변경된 첫 올스타전에서는 드림 올스타가 나눔 올스타를 6:3으로 이겼다. 2022년에는 11년 만에 잠실 야구장에서 올스타전이 열렸으며, 연장 10회 승부치기 끝에 나눔 올스타가 드림 올스타를 6:3으로 이겼다.
2. 1. 1982년 ~ 1990년
연도 | 경기 | 결과 | 비고 |
---|---|---|---|
1982년 | 1차전 (7월 1일 구덕) | 서군 5 : 1 동군 | 전날 야간조명 설치 완공 후 첫 야간경기 |
2차전 (7월 3일 무등) | 동군 11 : 6 서군 | ||
3차전 (7월 4일 동대문) | 서군 5 : 10 동군 | ||
1983년 | 1차전 (6월 30일 대구) | 서군 2 : 1 동군 | |
2차전 (7월 3일 인천) | 경기 취소 | 우천 취소 | |
3차전 (7월 4일 잠실) | 서군 1 : 5 동군 | ||
1984년 | 1차전 (6월 24일 잠실) | 동군 2 : 0 서군 | |
2차전 (6월 26일 대전) | 서군 1 : 7 동군 | ||
3차전 (6월 27일 인천) | 동군 2 : 4 서군 | ||
1985년 | 1차전 (6월 23일 잠실) | 서군 0 : 4 동군 | |
2차전 (6월 25일 무등) | 동군 5 : 1 서군 | ||
3차전 (6월 26일 구덕) | 서군 6 : 2 동군 | ||
1986년 | (6월 15일 잠실) | 동군 2 : 6 서군 | 단일 경기로 전환 이후 첫 올스타전 |
1987년 | (7월 5일 사직) | 서군 3 : 4 동군 | 부산 사직 구장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 |
1988년 | (6월 19일 잠실) | 동군 9 : 8 서군 | |
1989년 | (7월 2일 사직) | 서군 0 : 1 동군 | |
1990년 | (7월 1일 잠실) | 동군 4 : 3 서군 |
2. 2. 1991년 ~ 2000년
- 1991년 6월 23일 부산 사직 구장에서 8개 구단 체제 이후 첫 올스타전이 열렸으며, 동군이 서군을 10:6으로 이겼다.
- 1992년 6월 21일 서울 잠실 구장에서 열렸으며, 서군이 동군을 10:2로 이겼다.
- 1993년 7월 4일 부산 사직 구장에서 열렸으며, 서군이 동군을 7:2로 이겼다.
- 1994년 7월 17일 서울 잠실 구장에서 열렸으며, 동군이 서군을 3:2로 이겼다.
- 1995년 7월 14일 부산 사직 구장에서 열렸으며, 서군이 동군을 5:1로 이겼다.
- 1996년 7월 23일 서울 잠실 구장에서 열렸으며, 동군이 서군을 4:0으로 이겼다.
- 1997년 7월 8일 대구 구장에서 1983년 1차전 이후 14년 만에 올스타전이 개최되었으며, 서군이 동군을 6:5로 이겼다.
- 1998년 7월 8일 광주 무등 구장에서 1985년 2차전 이후 13년 만에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올스타전 최초로 메인스폰서(대회명: '98프로야구 코카콜라 올스타전)가 도입되었으며, 동군이 서군을 8:2로 이겼다.
- 1999년 7월 14일 수원 구장에서 양대리그(매직리그, 드림리그) 시행 이후 첫 올스타전(대회명: '99프로야구 스피드011 올스타전)이 열렸으며, 드림리그가 매직리그를 9:5로 이겼다.
- 2000년에는 1985년 이후 15년 만에 2연전으로 올스타전이 시행되었고, 마산 구장과 제주 오라 구장에서 처음으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1승 1무로 드림리그가 우승했다.
- * 1차전 (7월 21일 마산 구장) - 드림리그 6:6 매직리그 (무승부)
- * 2차전 (7월 23일 제주 오라 구장) - 매직리그 4:5 드림리그 (드림리그 승리)
2. 3. 2001년 ~ 2010년
연도 | 개최 구장 | 승리 팀 | 경기 결과 |
---|---|---|---|
2001년 | 서울 잠실 구장 | 동군 | 동군 6 : 2 서군 |
2002년 | 인천 문학 구장 | 서군 | 서군 3 : 1 동군 |
2003년 | 대전 구장 | 서군 | 동군 4 : 9 서군 |
2004년 | 사직 구장 | 동군 | 서군 3 : 7 동군 |
2005년 | 인천 문학 구장 | 서군 | 서군 6 : 5 동군 |
2006년 | 서울 잠실 구장 | 동군 | 서군 1 : 6 동군 |
2007년 | 사직 구장 | 동군 | 동군 6 : 3 서군 |
2008년 | 인천 문학 구장 | 동군 | 서군 4 : 11 동군 |
2009년 | 광주 무등 구장 | 웨스턴 | 이스턴 3 : 7 웨스턴 |
2010년 | 대구 구장 | 이스턴 | 웨스턴 8 : 9 이스턴 |
2001년에는 단일리그로 재전환한 후 처음으로 올스타전이 열렸고, 이틀간 진행된 첫 대회이기도 하다. 2002년에는 인천 문학 구장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이 열렸다. 2003년에는 1984년 2차전 이후 19년 만에 대전 구장에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2004년에는 1995년 이후 9년 만에 사직 구장에서 올스타전이 열렸다. 2007년에는 마지막 제헌절 휴일 올스타전이 열렸다. 2009년에는 1998년 이후 11년 만에 광주 무등 구장에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고, 팀명이 동군, 서군에서 영문명인 이스턴 올스타, 웨스턴 올스타로 변경되었다. 2010년에는 1997년 이후 13년 만에 대구 구장에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다.
2. 4. 2011년 ~ 현재
2011년 7월 23일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연장 10회 승부치기 끝에 웨스턴이 이스턴을 5:4로 이겼다. 2012년에는 2003년 이후 9년 만에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에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고, 7월 21일 경기에서 이스턴이 웨스턴을 5:2로 이겼다. 2013년에는 9개 구단 체제와 함께 포항 야구장 개장 이후 처음으로 올스타전이 열렸으며, 7월 19일 경기에서 이스턴이 웨스턴을 4:2로 이겼다.2014년에는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이 열렸고, 7월 18일 경기에서 웨스턴이 이스턴을 13:2로 크게 이겼다. 2015년에는 10개 구단 체제가 된 후 처음으로 올스타전이 개최되었고, 1999년 이후 16년 만에 수원 KT 위즈 파크에서 열렸다. 또한, 팀명이 이스턴, 웨스턴에서 드림 올스타, 나눔 올스타로 변경되었다. 7월 18일 경기에서는 드림 올스타가 나눔 올스타를 6:3으로 이겼다.
2016년에는 고척 스카이돔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이 열렸고, 7월 16일 경기에서 드림 올스타가 나눔 올스타를 8:4로 이겼다. 2017년에는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이 개최되었으며, 7월 15일 경기에서 드림 올스타가 나눔 올스타를 13:8로 이겼다. 2018년에는 울산 문수 야구장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이 열렸고, 7월 14일 경기에서 나눔 올스타가 드림 올스타를 10:6으로 이겼다.
2019년에는 창원NC파크 개장 이후 첫 올스타전이 열렸고, 7월 21일 경기에서 드림 올스타가 나눔 올스타를 9:7로 이겼다. 2022년에는 11년 만에 잠실 야구장에서 올스타전이 열렸으며, 연장 10회 승부치기 끝에 나눔 올스타가 드림 올스타를 6:3으로 이겼다. 2023년에는 사직 야구장에서 드림이 나눔에 4:0으로 승리했다. 2024년에는 SSG 랜더스필드에서 나눔이 드림에 4:2로 승리했다.
3. 미스터 올스타 (올스타전 MVP)
미스터 올스타는 KBO 올스타전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롯데 자이언츠가 15회로 가장 많은 미스터 올스타를 배출했으며, KIA 타이거즈(7회), 한화 이글스(5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3. 1. 역대 미스터 올스타
연도 | 선수 | 소속팀 |
---|---|---|
1982 | 김용희 | 롯데 자이언츠 |
1983 | 신경식 | OB 베어스 |
1984 | 김용희 | 롯데 자이언츠 |
1985 | 김시진 | 삼성 라이온즈 |
1986 | 김무종 | 해태 타이거즈 |
1987 | 김종모 | 해태 타이거즈 |
1988 | 한대화 | 해태 타이거즈 |
1989 | 허규옥 | 롯데 자이언츠 |
1990 | 김민호 | 롯데 자이언츠 |
1991 | 김응국 | 롯데 자이언츠 |
1992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1993 | 이강돈 | 빙그레 이글스 |
1994 | 정명원 | 태평양 돌핀스 |
1995 | 정경훈 | 한화 이글스 |
1996 | 김광림 | 쌍방울 레이더스 |
1997 | 유지현 | LG 트윈스 |
1998 | 박정태 | 롯데 자이언츠 |
1999 | 박정태 | 롯데 자이언츠 |
2000 | 송지만 | 한화 이글스 |
2001 | 타이론 우즈 | 두산 베어스 |
2002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2003 | 이종범 | KIA 타이거즈 |
2004 | 정수근 | 롯데 자이언츠 |
2005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2006 | 홍성흔 | 두산 베어스 |
2007 | 정수근 | 롯데 자이언츠 |
2008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2009 | 안치홍 | KIA 타이거즈 |
2010 | 홍성흔 | 롯데 자이언츠 |
2011 | 이병규 | LG 트윈스 |
2012 | 황재균 | 롯데 자이언츠 |
2013 | 손아섭 | 롯데 자이언츠 |
2014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2015 | 강민호 | 롯데 자이언츠 |
2016 | 민병헌 | 두산 베어스 |
2017 | 최정 | SK 와이번스 |
2018 | 김하성 | 넥센 히어로즈 |
2019 | 한동민 | SK 와이번스 |
2022 | 정은원 | 한화 이글스 |
2023 | 채은성 | 한화 이글스 |
2024 | 최형우 | KIA 타이거즈 |
3. 2. 구단별 MVP 수상 횟수
구단 | MVP 수상 횟수 | 비고 |
---|---|---|
롯데 자이언츠 | 15회 | 1982, 1984, 1989, 1990, 1991, 1998, 1999, 2004, 2005, 2007, 2008, 2010, 2012, 2013, 2015 |
KIA 타이거즈 | 7회 | 1986, 1987, 1988, 1992, 2003, 2009, 2024 |
한화 이글스 | 5회 | 1993, 1995, 2000, 2022, 2023 |
두산 베어스 | 4회 | 1983, 2001, 2006, 2016 |
LG 트윈스 | 2회 | 1997, 2011 |
현대 유니콘스 | 2회 | 1994, 2002 |
키움 히어로즈 | 2회 | 2014, 2018 |
SK 와이번스 | 2회 | 2017, 2019 |
삼성 라이온즈 | 1회 | 1985 |
쌍방울 레이더스 | 1회 | 1996 |
NC 다이노스 | 1회 | 2020 |
4. 올스타전 부가 행사
KBO 올스타전에서는 경기 외에도 팬들을 위한 다양한 부가 행사가 열린다.
홈런 레이스는 1993년부터 시작된 행사로, 올스타전 본 경기 전에 진행된다. 초기에는 올스타전 중간에 실시되었으나 2013년부터는 올스타전 직전 행사로 변경되었다. 2009년을 기준으로 경기 진행 방식은 각 선수에게 7개의 아웃 카운트가 주어지며, 파울이나 타구가 경기장 안에 떨어지면 아웃 카운트가 추가된다. 예선을 거쳐 결승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기록한 선수가 우승하는 방식이다. 양준혁, 박재홍, 김태균이 3회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번트왕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 행사로, 선수들의 번트 능력을 겨루는 대회였다. 2012년에는 각 선수들이 4번씩 번트를 대어 총점이 높은 선수가 우승했고, 2016년에는 드림 올스타와 나눔 올스타 팀 대항전으로 진행되었다.
퍼펙트 피처는 2013년부터 시작된 행사로, 투수들의 제구력을 겨루는 이벤트이다. 2013년에는 각 선수들이 1분 안에 20개의 공을 던져 방망이를 쓰러뜨리는 방식이었으나, 2016년부터는 시간 제한 없이 10개의 공을 던져 점수가 높은 선수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퍼펙트 히터는 2017년부터 번트왕을 대체하여 도입된 이벤트로, 타자들의 정확성을 겨루는 경기이다. 내야와 외야에 설치된 목표물을 맞히는 방식으로, 내야 목표물은 1점, 외야 목표물은 2점으로 배점이 주어진다.
슈퍼 레이스는 2019년부터 시작된 행사로, 각 구단별 올스타 선수, 야구팬, 마스코트가 한 팀을 이루어 그라운드에 설치된 장애물 코스를 통과하는 경주 방식이다.
4. 1. 홈런 레이스
홈런 레이스는 KBO 올스타전 직전에 열리는 행사로, 1993년부터 시작되었다. 2015년까지 인터파크의 후원을 받았으며, 우승자에게는 별도의 상금이 지급되었다. 2012년까지는 올스타전 중간에 진행되었으나, 2013년부터 올스타전 이전으로 변경되었다.경기 방식은 2009년 기준으로 각 선수에게 7개의 아웃 카운트가 주어지고, 한 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파울이나 타구가 경기장 안에 떨어지면 아웃 카운트가 추가되고, 공을 치지 않고 흘려보내면 아웃 카운트는 추가되지 않는다. 예선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친 선수 2명이 결승에 진출하며, 결승에서는 각 선수에게 10개의 아웃 카운트와 한 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여기서도 승부가 나지 않으면 타격 한 번씩을 번갈아 하는 재경기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린다. 양준혁, 박재홍, 김태균이 3회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4. 1. 1. 역대 홈런 레이스 우승자
연도 | 구장 | 선수 | 소속팀 | 홈런 | 비고 |
---|---|---|---|---|---|
1993년 | 사직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5 | 최초 |
1994년 | 잠실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3 | |
1995년 | 사직 | 마해영 | 롯데 자이언츠 | 6 | |
1996년 | 잠실 | 심재학 | LG 트윈스 | 2 | 연장전 우승 |
1997년 | 대구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2 | |
1998년 | 광주 | 양준혁 | 삼성 라이온즈 | 5 | |
1999년 | 수원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4 | |
2000년 | 마산, 제주 | 타이론 우즈 | 두산 베어스 | 9 | 내, 외국인 홈런레이스 승자끼리 결승전 |
2001년 | 잠실 | 양준혁 | LG 트윈스 | 4 | 연장전 우승 |
2002년 | 문학 | 틸슨 브리또 | 삼성 라이온즈 | 2 | |
2003년 | 대전 | 김동주 | 두산 베어스 | 5 | |
2004년 | 사직 | 박용택 | LG 트윈스 | 4 | |
2005년 | 문학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5 | |
2006년 | 잠실 | 이택근 | 현대 유니콘스 | 1 | |
2007년 | 사직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9 | |
2008년 | 문학 | 박재홍 | SK 와이번스 | 7 | 월드 홈런레이스 |
2009년 | 광주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5 | |
2010년 | 대구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10 | 역대 홈런레이스 결승 사상 최다 홈런 |
2011년 | 잠실 | 박정권 | SK 와이번스 | 7 | 예선 6홈런 |
2012년 | 대전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6 | 예선 14홈런 (예선 신기록) |
2013년 | 포항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6 | |
2014년 | 광주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14 | 역대 홈런레이스 결승 최다 홈런 |
2015년 | 수원 | 황재균 | 롯데 자이언츠 | 11 | |
2016년 | 고척 | 히메네스 | LG 트윈스 | 5 | |
2017년 | 대구 | 윌린 로사리오 | 한화 이글스 | 8 | |
2018년 | 울산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3 | 연장전 1홈런 |
2019년 | 창원 | 제이미 로맥 | SK 와이번스 | 7 | |
2022년 | 미개최 | ||||
2024년 | 문학 | 오스틴 딘 | LG 트윈스 | 4 | 연장전 1홈런 |
양준혁, 박재홍, 김태균이 3회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4. 2. 번트왕
번트왕은 KBO 올스타전 직전에 열리는 작은 대회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되었다. 2012년에는 G마켓이 후원했으며, 우승자에게는 상금이 주어졌다.경기 방식은 2012년에는 각 선수들이 4번씩 번트를 대어 총점이 높은 선수가 우승했고, 2016년에는 드림 올스타와 나눔 올스타가 팀을 이루어 6번의 기회 동안 더 많은 점수를 얻는 팀이 우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 2. 1. 역대 번트왕 우승자
연도 | 구장 | 우승자 | 소속팀 | 점수 |
---|---|---|---|---|
2012년 | 대전 | 이용규 | KIA 타이거즈 | 10점 |
2013년 | 포항 | 신본기 | 롯데 자이언츠 | 2점 |
2014년 | 광주 | 손아섭 | 롯데 자이언츠 | 13점 |
2015년 | 수원 | 이용규 | 한화 이글스 | 16점 |
2016년 | 고척 | 드림 올스타 | 메릴 켈리, 심창민, 허경민, 김문호, 박경수 |
4. 3. 퍼펙트 피처
퍼펙트 피처는 KBO 올스타전 직전에 진행되는 미니 대회로, 투수들의 제구력을 겨루는 이벤트이다. 201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3년에는 한국야쿠르트가 후원하여 우승자에게 별도의 상금이 지급되었다.경기 진행 방식은 2013년 각 선수들이 1분 안에 20개의 공을 던져 방망이를 쓰러뜨리는 방식에서 2016년 시간 제한 없이 각 선수들이 10개의 공을 던져 방망이를 쓰러뜨려 점수가 높은 선수가 우승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4. 3. 1. 역대 퍼펙트 피처 우승자
연도 | 구장 | 선수 | 소속팀 | 점수 |
---|---|---|---|---|
2013년 | 포항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3점 |
2014년 | 광주 | 이동현 | LG 트윈스 | 8점 |
2015년 | 수원 | 안지만 | 삼성 라이온즈 | 5점 |
2016년 | 고척 | 오재원 | 두산 베어스 | 9점 |
2017년 | 대구 | 이현승 | 두산 베어스 | |
2018년 | 울산 | 양의지 | 두산 베어스 | |
2019년 | 창원 | 에릭 요키시 | 키움 히어로즈 |
4. 4. 퍼펙트 히터
퍼펙트 히터는 2017년부터 기존의 번트왕을 대체하여 도입된 이벤트이다. 타자들의 정확성을 겨루는 경기로, 내야와 외야에 설치된 목표물을 맞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내야 목표물은 1점, 외야 목표물은 2점으로 배점이 주어진다.4. 4. 1. 역대 퍼펙트 히터 우승자
4. 5. 슈퍼 레이스
슈퍼 레이스는 KBO 올스타전 직전에 진행되는 미니 대회로, 2019년부터 시작되었다. 각 구단별 올스타 선수 2명, 사연 공모를 통해 선정된 야구팬 3명, 그리고 마스코트가 한 팀을 이루어, 그라운드에 설치된 6개의 장애물 코스(낙하산 레이스, 점핑 디딤돌, 터널 탈출, 오뚜기 허들, 고지 탈환, 퍼펙트피처)를 통과하는 경주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린다. 슈퍼 레이스는 토너먼트제로 진행된다.4. 5. 1. 역대 슈퍼 레이스 우승팀
2019년 슈퍼 레이스에서는 키움 히어로즈 (이정후, 제리 샌즈)가 우승하였다.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폭염도 못 막은 프로야구 올스타전 열기…대전이 들썩들썩
‘미스터 올스타’ 박동원 “작년 최형우땐 KIA 우승…LG도 똑같이”
KBO 올스타전서 나눔 4연승…MVP는 LG 박동원
'올스타전 최다 출전' 김현수 "의미 부여 안 할 것"
팬 투표 최다 득표 김서현 "뿌듯하고 영광스럽습니다"
삼성 디아즈, 올스타전 홈런 더비 우승
‘이글 이글’ 이글스, ‘봄데’ 탈피 자이언츠 덕에 ‘볼맛’
올스타전 ‘홈런 더비’ 승자는?…괴물 안현민·홈런 1위 디아즈 등 8명 확정
오스틴·올러, KBO 올스타전 참가 불발…채은성·윤영철 대체 발탁
13년 만의 KBO 대전 올스타전…블랙이글스 에어쇼로 축제 예고
올스타전 홈런 더비 출전 선수 공개…팬 투표로 8명 선발
컴투스, 4년 연속 ‘KBO 올스타전’ 공식 스폰서…11일 홈런더비 – 바이라인네트워크
가라비토 첫 등판·류현진 복귀…이번주도 볼거리 많은 프로야구
류현진 삼진·노시환 홈런, 인피니티 풀에서 즐겨볼까
컴투스, 2년 연속 ‘KBO 올스타전’ 공식 스폰서 체결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